"한국 ’대미 관세 50%’…상호관세 25% 부과"
’최악의 위반국’에 한국 포함…국가별 관세 적용
나머지 국가는 기본 관세 10% 적용…전세계 대상
상호관세 4월 9일 발효…기본관세 4월 5일 발효
’최악의 위반국’에 한국 포함…국가별 관세 적용
나머지 국가는 기본 관세 10% 적용…전세계 대상
상호관세 4월 9일 발효…기본관세 4월 5일 발효
AD
[앵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한국에 25% 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하지 않고 미국산 쌀에도 높은 관세를 매기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권준기 특파원!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됐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각 나라 별로 상호관세를 적용하겠다며 한국에 대한 관세율도 발표했습니다.
한국이 미국에 부과하고 있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이 50%라며 여기에 절반인 25%를 한국에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은 우리보다 낮은 24%고 중국은 34%, 유럽연합 20%, 베트남은 46%가 적용됐습니다.
한국은 FTA로 관세가 거의 없지만 비관세 장벽 등을 문제 삼아 관세율을 적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가 미국에 적용하는 관세의 절반만 적용한다며 '미국의 관대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을 부과할 것입니다. 따라서 완전한 상호관세는 아닌 거죠. 그들과 똑같은 관세를 매길 수 있었겠지만, 그러면 너무 힘들 거니까 그러지 않았습니다.]
트럼프는 이른바 '최악의 위반국' 명단이 적힌 대형 차트를 들고 나와 관세율을 설명했습니다.
여기엔 한국도 포함됐는데,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는 기본관세 10%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기본관세에 상호관세가 합산될 거란 관측도 있었지만, 기본관세국과 상호관세국은 따로 분류됐습니다.
상호관세 발효 시점은 4월 9일 0시부터이고, 기본 관세인 10%는 4월 5일 0시부터 적용됩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서 한국에 대한 언급도 수 차례 나왔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가 미국을 얼마나 차별적으로 대하는지 언급하면서 한국을 지목했습니다.
한국, 일본 등이 거대한 무역 장벽을 쌓아 한국 내에선 자동차 81%가 한국산이고 일본에선 94%가 일본산이라고 불만을 나타낸 겁니다.
반면 도요타는 미국에 자동차 백 만대를 팔고 있다며 불공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쌀 관세도 문제 삼았습니다.
일본은 700%, 한국은 50%에서 513%까지 다양한 관세를 부과한다며 그들은 우리가 쌀을 판매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발표에 앞선 사전 브리핑에서도 미국 고위 당국자는 한국 관세가 미국 4배라는 주장을 반복했습니다.
최혜국 관세를 기준으로 미국은 3.5%인데 한국은 13%라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로 미국이 해방의 날을 맞게 됐다며 국내 제조업이 부흥하고 일자리가 늘어날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미국 내에선 이미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죠?
[기자]
네, 우선 야당인 민주당은 트럼프 관세가 물가를 끌어올릴 거라며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인 척 슈머 의원은 오늘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미국 가정의 지출이 연간 7백만 원은 더 늘어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척 슈머 /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 미국 가정은 이번 관세로 평균 5천 달러 이상이 주머니에서 나오게 될 것입니다.]
미국 경제학자들도 트럼프 관세로 1조 달러의 세수가 확보될 거라는 백악관 주장은 터무니 없다며 기껏해야 연간 6백억 달러 수준일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관세로 물가가 오를 거라는 예상을 잇따라 내놓으며 대표적으로 자동차 가격은 평균 13% 넘게 오를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는 미국 증시가 마감된 뒤 이뤄졌습니다.
정규 거래 시간에는 3대 지수 모두 일제히 상승했는데,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관세전쟁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한국에 25% 관세율을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를 수입하지 않고 미국산 쌀에도 높은 관세를 매기고 있다며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권준기 특파원!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구체적인 내용이 공개됐죠?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각 나라 별로 상호관세를 적용하겠다며 한국에 대한 관세율도 발표했습니다.
한국이 미국에 부과하고 있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이 50%라며 여기에 절반인 25%를 한국에 매기겠다고 밝혔습니다.
일본은 우리보다 낮은 24%고 중국은 34%, 유럽연합 20%, 베트남은 46%가 적용됐습니다.
한국은 FTA로 관세가 거의 없지만 비관세 장벽 등을 문제 삼아 관세율을 적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가 미국에 적용하는 관세의 절반만 적용한다며 '미국의 관대함'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내용 들어보시죠.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는 관세의 절반을 부과할 것입니다. 따라서 완전한 상호관세는 아닌 거죠. 그들과 똑같은 관세를 매길 수 있었겠지만, 그러면 너무 힘들 거니까 그러지 않았습니다.]
트럼프는 이른바 '최악의 위반국' 명단이 적힌 대형 차트를 들고 나와 관세율을 설명했습니다.
여기엔 한국도 포함됐는데,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국가는 기본관세 10%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기본관세에 상호관세가 합산될 거란 관측도 있었지만, 기본관세국과 상호관세국은 따로 분류됐습니다.
상호관세 발효 시점은 4월 9일 0시부터이고, 기본 관세인 10%는 4월 5일 0시부터 적용됩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에서 한국에 대한 언급도 수 차례 나왔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나라가 미국을 얼마나 차별적으로 대하는지 언급하면서 한국을 지목했습니다.
한국, 일본 등이 거대한 무역 장벽을 쌓아 한국 내에선 자동차 81%가 한국산이고 일본에선 94%가 일본산이라고 불만을 나타낸 겁니다.
반면 도요타는 미국에 자동차 백 만대를 팔고 있다며 불공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쌀 관세도 문제 삼았습니다.
일본은 700%, 한국은 50%에서 513%까지 다양한 관세를 부과한다며 그들은 우리가 쌀을 판매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발표에 앞선 사전 브리핑에서도 미국 고위 당국자는 한국 관세가 미국 4배라는 주장을 반복했습니다.
최혜국 관세를 기준으로 미국은 3.5%인데 한국은 13%라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발표로 미국이 해방의 날을 맞게 됐다며 국내 제조업이 부흥하고 일자리가 늘어날 거라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미국 내에선 이미 반발이 터져나오고 있죠?
[기자]
네, 우선 야당인 민주당은 트럼프 관세가 물가를 끌어올릴 거라며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인 척 슈머 의원은 오늘 기자회견에서 앞으로 미국 가정의 지출이 연간 7백만 원은 더 늘어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척 슈머 /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 미국 가정은 이번 관세로 평균 5천 달러 이상이 주머니에서 나오게 될 것입니다.]
미국 경제학자들도 트럼프 관세로 1조 달러의 세수가 확보될 거라는 백악관 주장은 터무니 없다며 기껏해야 연간 6백억 달러 수준일 거라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관세로 물가가 오를 거라는 예상을 잇따라 내놓으며 대표적으로 자동차 가격은 평균 13% 넘게 오를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는 미국 증시가 마감된 뒤 이뤄졌습니다.
정규 거래 시간에는 3대 지수 모두 일제히 상승했는데, 상호관세 발표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트럼프 관세전쟁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YTN 권준기 (jkwon@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